본문 바로가기
정현자색감소개
인사말
공방전경
보도자료
찾아오시는길
천연염색안내
천연염색이란
천연염색의 역사
천연염색방법
천연염색활용
체험학습/강좌
체험학습안내
강좌신청하기
체험신청
체험신청
한방약초
약초소개
상품갤러리
의류
침구
방석
소품
기타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료실
포토앨범
Ms. Jeong Hyun-ja's Natural Dyeing Factory
한방약초
.
약초소개
빈랑
말레이시아 원산
열매를 빈랑자라고 하는데 빈랑자에는 타닌과 알칼로이드가 들어있어 촌충구제, 설사, 피부병, 두통 등에 사용하고 어린잎은 식용으로 사용
살색, 엷은 갈색
정향
정향 분말이나 정향유를 식용, 약용하며 방부제로도 사용함
구토, 위암, 복통, 소화불량과 서기능 증대, 잇몸염증 및 잇몸 통증 등에 사용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진통, 항염, 항산화, 향균
황갈색, 흑갈색
울금
강황과 유사한 외형을 하고 있음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토혈, 코피, 등을 치료하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함
약리작용으로는 담즙분비, 배설촉진
황색
괴화
콩과의 회화나무의 꽃봉오리를 말함
과거 귀신을 쫓는다고 믿어져 주로 궁궐에 심어진 나무
양혈지혈, 살충요창, 청간강화, 항암 및 혈열료 인한 변비, 장출혈, 자궁출혈, 두통, 어지럼증, 동맥경화증에 효과
선황색, 녹황색, 울금색
소목
말레이시아 원산
콩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
행혈, 지혈, 구어혈, 진통소종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심재를 약재로 사용하였음
적황색 목재부분은 적색계 염료로 쓰이고 주로 수입해서 사용함
자적색, 자색, 황갈색, 홍색
황련
Coptis의 뿌리줄기, 화(火)를 풀고 습(濕)을 제거하며 해독(解毒)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소염, 향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등의 치료에 처방하여 사용
황갈색, 흑갈색
후박
목련과의 일본후박과 녹나무과의 후박이 있음 염료로 이용하는 후박 껍질은 한약전재상에서 구할 수 있음
후박나무의 겉껍질, 잎가루는 풀기가 있어 예로부터 선향의 접합제로 쓰임
옅은 황갈색
오미자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며 그 중 신맛이 가장 강함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쓰임
염색에서 산을 첨가할 때 사용
지초
산이나 들에 자생하는데 우리나라 각지 및 일본 동북부에 분포
뿌리는 자초(紫草), 자근(紫根)이라 하여 화상, 동상, 습진 등의 약재로 쓰이고, 자색염료로도 쓰임
붉은색
자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Perilla sikokiana)의 잎으로 기(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며 한(恨)을 발산시키고 영(嶺)을 조화시 크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오매
장미과의 매실나무의 덜 익은 열매를 매연으로 훈증시킨 약재를 말함
약리작용으로 면역 증강작용, 향균작용, 자궁경부암 억제작용이 있음
홍화염색 시 함께 사용
오배자
매미목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모배자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
지혈, 해독, 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달항, 위궤양 등 처방
타닌성분을 50~60% 함유하고 있어 타닌제를 비롯해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
자주빛 도는 흑색, 회색
황백
낙엽활엽 교목으로 껍질에는 코르크가 발달했으며 속껍질은 황색
혈당저하작용, 폐렴쌍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 구균 등에 대한 발육저지 작용 및 살균작용을 함
유해성 눈병의 세안 소독약으로 사용할 수 있음
다갈색, 녹황색
대황
한국과 일본은 장엽대황, 당고특대황, 약용대황의 뿌리줄기를 사용
대황은 쓰고, 찬 성질이 있음
청열해독(淸熱解毒) 기능
담열(痰熱)을 내리는 힘이 있음
적색을 띤 황갈색, 황색
가자
한국과 일본에서는 가자나무의 성숙한 열매에서 씨를 제거하고 말린 과육을 사용함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중국 사천성 등에 자생하는 열대선 큰키나무
약리작용으로는 수렴, 지사, 녹농균 등에 대한 억균 용이 보고됨
계피
녹나무과의 육계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함
약리작용으로는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음
TOP